티스토리 뷰

임신 중기 임신 17주 증상 (아기 성별, 임신 중 치아관리)

임신 중기, 임신 17주 쯤 되면 기대되는 질문이 하나 생깁니다. 성별이 뭘까? 

15주 16주만 돼도 성별을 알 수 있다고 하지만, 병원에서는 조금 더 확실해질 때까지 답을 주지 않습니다.

혹시 치아가 아픈데 마냥 참고 계시진 않으시죠? 오늘은 임산부 치과 지료와 치아관리도 함께 알아보려고 합니다.

임신 17주 아기

태아는 태반과 비슷한 크기로 자랍니다. 성장이 두드러지면서 체중이 1.5~2배 가까이 늘어납니다. 17주 아기의 체중은 100~150g 정도 됩니다.

손톱과 발톱은 물론 지문도 생깁니다. 단맛과 쓴맛을 구분하며 양수가 쓰면 뱉어내기도 하지요. 눈을 깜빡이거나 손가락을 빠는 반사운동을 활발하게 합니다. 

임신 17주 엄마(임신 17주 차 증상)

자궁이 계속 커지고 복부 인대가 늘어나면서 하복부에 통증이 느껴집니다. 개인에 따라 임신성 기미가 생기기도 하고 호르몬의 영향으로 시력이 약해지거나 눈이 건조해 뻑뻑함을 느끼기도 합니다.

빠른 산모는 이때 태동을 느끼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아기가 작기 때문에 느끼지 못하는 산모들도 많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태동을 배 안쪽이 간지럽다고 느끼거나 장이 꾸르륵 거리는 등으로 착각하는 경우도 있으니 참조하세요.

아기 성별

아기의 성별이 많이 궁금하셨을 텐데요. 태아의 성별은 정자와 난자가 만나는 순간 결정이 됩니다. 저희는 사실 '딸을 원했지만, 아들이어도 괜찮다. 하지만 절대 티는 내지 말자'였습니다. 시댁에서도 아들만 둘에 이미 조카 두 명도 아들이라 딸을 원하셨지요. 임신 12주쯤 까지 남아와 여아 모두 돌출된 생식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알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 뒤로 약 4~5주 정도, 그러니까 16주 17주까지 남아는 더 크게 돌출되고, 여아는 돌출되어있던 생식기가 안쪽으로 소멸하면서 성별을 구분할 수 있게 되지요. 그전부터 살짝 여쭤보았지만 확실해질 때까지 선생님께서는 말씀을 아끼셨어요. 나중에 번복하고 싶지 않다고 하셨죠. 그리고 명확하게 "아들입니다. 딸입니다"라고 말씀해주시지 않아요. "핑크가 어울리겠네요. 파란색 옷을 준비하세요" 등과 같이 둘러 둘러 말씀해주시지요.

저는 분홍색 옷을 준비하는 딸 맘이 되었습니다.

임신 중 치아관리(임산부 치과치료)

임신을 하면 호르몬의 영향으로 잇몸 혈관 벽이 약해져 치석이나 치태와 같은 자극으로 인해 염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그전에 잇몸과 치아에 아무런 증상이 없었더라도 호르몬의 변화로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박테리아 수가 급속히 늘어나고 구강 내 박테리아에 의해 치은염, 치주염이 나타납니다.  

임신성 치은염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잇몸이 빨갛게 되고 출혈이 생기는 것이 대표 증상인데, 임신 2~3개월에 시작되고 출산을 앞두고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서 치료를 미루기 쉽습니다. 잇몸 질환이 심할 경우 입속 세균의 나쁜 독소가 혈관과 임산부의 소화기관을 통해 태아막에 도달해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이것이 태아와 임산부에게 영향을 미쳐 조산이나 저체중아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임산부 치과치료시기

임신 중에도 치과 치료는 가능합니다. 국소마취제 등의 간단한 약물은 태아에게 해를 주지 않기 때문인데요. 단, 태아의 모든 장기와 기관이 형성되는 임신 3개월까지는 응급 상황을 제외하고는 치과 치료를 받지 않습니다. 충치나 잇몸 이상이 있을 때는 임신 4~6개월에 치과 치료를 받습니다. 

또한 임산부 혜택으로 의료비 지원이 있는 것도 기억하세요. 저는 이 시기에 스케일링을 받았습니다.

임산부 치아관리요령

1. 자극을 주지 않는 제품을 고른다. 치약은 계면활성제, 연마제, 감미제 등 화학성분이 없는 것으로 선택하고, 일반 치약보다는 임산부 전용 치약이나 유아용 치약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해드립니다. 칫솔 또한 모가 부드러운 걸로 사용하세요.

2. 입덧이 심할 때는 치실을 사용한다. 입덧이 정말 심할 때에는 칫솔 사용이 어렵습니다. 제 친구도 양치질을 하기 전에 꼭 한 번씩은 토했다고 하더라고요. 좀처럼 입덧이 가라앉지 않아 양치질이 어려울 때에는 치실을 이용하세요. 하지만 임신 중에는 잇몸 조직이 약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최대한 자극이 적게 사용하셔야 합니다.

3. 치아 건강에 좋은 음식을 먹고, 간식을 먹은 후에도 양치질을 한다.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한 유제품과 육류, 그리고 생선을 골고루 섭취하시고 특히 비타민C가 풍부한 과일과 채소는 잇몸을 튼튼하게 해 주므로 신경 써서 챙겨 드세요. 하지만 과자나 과일 등 간식을 먹은 뒤에도 꼭 양치질을 해야 하는데요. 만약에 양치질을 즉시 할 수 없을 때에는 과자나 젤리처럼 끈적이는 간식은 피하고 외출 시 가글을 휴대해 가볍게 입을 헹구는 습관을 들입니다.

 

오늘은 임신 17주 아기와 엄마 증상, 그리고 임산부의 치아관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치과치료는 미루지 마시고 임신 4~6개월 사이에 치료받으세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임신 18주 차와 임산부 불면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댓글